일반대학원 : 문헌정보교육학과(박사)-문헌정보학박사, 교육학박사
개요/목표
대학원개요
대학원 문헌정보교육학과 박사과정은 2015년에 개설되어 2016 학년도부터 신입생을 모집한다. 전국 유일의 문헌정보교육학 박사과정이 신설됨으로써 문헌정보교육 분야의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.
문헌정보교육학과 박사과정은 학교도서관, 독서교육, 정보활용교육 및 정보활용교수법 등 문헌정보교육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. 문헌정보학전공자, 초중등 교원, 교육전문직, 교육공무원 등 여러 분야에서 문헌정보교육학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.
교육목표
-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문헌정보교육학 박사 양성을 통해 독서교육 및 학교도서관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
- 중국, 일본 등 아시아권의 문헌정보교육학 분야의 메카로 성장
- 학부과정의 문헌정보교육과 마찬가지로 전국 유일의 문헌정보교육학 박사인력 양성 학과로 성장
- 독서, 교육, 문화, 청소년 등 새로운 융복합 분야의 연구분야 개척
- 정부부처와 시도교육청에 독서교육 및 학교도서관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교육전문직들을 적극 유치
교육과정
구분 | 교과목명 | 학점 |
---|---|---|
전공 | 문헌정보교육철학(Studies in Theory of Library &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) | 3 |
문헌정보교육 방법론(Seminar of Material & Research Methods in Library &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) | 3 | |
문헌정보교육학 연구방법론(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) | 3 | |
독서교육론(Studies in Reading Education) | 3 | |
독서교육프로그램 개발론(Studies in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) | 3 | |
독서요법과 인성독서 세미나(Seminar in Bibliotherapy & Reading for Character Building) | 3 | |
학교도서관 미디어센터 경영론 (Management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s) | 3 | |
학교도서관 마케팅론(Studies in Marketing of School Library) | 3 | |
교육정보매체론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& Instructional Media) | 3 | |
정보활용교육론(Theor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) | 3 | |
정보활용교육과 교수설계(Instructional Design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) | 3 | |
도서관협력수업론(Studies in Cooperative Teaching in School Library) | 3 | |
디지털독서론(Studies in Digital Reading) | 3 | |
교육정보자원개발론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Resource Development) | 3 | |
아동 및 청소년 자료론(Studies in Information User of Children and Young Adults) | 3 | |
정보행태론(Information Behavior) | 3 | |
교육정보서비스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) | 3 | |
학교도서관 서비스개발론(Service Design in School library) | 3 | |
비교분류론(Studies in Comparative Classification) | 3 | |
교육정보메타데이터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Metadata) | 3 | |
디지털도서관 연구(Studies in Digital Library) | 3 | |
통합리터러시 교육론(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) | 3 | |
고전세미나(Seminar of Classics) | 3 |
교과내용
전공과목 |
---|
고전세미나(Seminar of Classics) <위대한 저서 읽기 프로그램>에 따른 고전독서와 토론 |
교육정보매체론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& Instructional Media) 교육정보매체의 범위, 성격, 특징을 이해하고,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통하여 학생의 정보처리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교수 매체 개발 전략 및 교수 설계 전략을 연구한다. |
교육정보메타데이터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Metadata) 메타데이터의 목적과 특징을 이해하고 교육정보 메타데이터에 관한 심화 학습한다. |
교육정보서비스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) 정보의 생성, 유통, 이용 등을 고찰하고, 정보전문가로서 질 높은 교육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해 교육 분야 핵심 정보원 파악, 및 교육정보원의 평가와 선정방법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. |
교육정보자원개발론(Studies in Educational Information Resources) 학교도서관 장서의 선택, 수집, 구성, 보존, 폐기, 평가, 자원공유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교육정보자원을 개발한다. |
도서관협력수업론(Studies in Cooperative Teaching in School Library)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의 준비-설계-운영-평가 과정에서 교육적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교과교사와 사서교사의 구체적인 역할을 탐구하고, 국내․외 사례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도서관 협력수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한다. |
독서교육론(Studies in Reading Education) 독서교육의 3요소 즉, 독자, 독서자료, 지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독서교육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론과 실제를 추구한다. |
독서교육프로그램개발론(Studies in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)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이해하고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. |
독서요법과 인성독서 세미나(Seminar in Bibliotherapy & Reading for Character Building) 청소년 비행 예방과 독서를 통한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교육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. |
디지털도서관 연구(Studies in Digital Library) 디지털도서관의 구조, 기능과 특성을 분석하고 디지털도서관의 설계,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/경영적 지식을 제공함과 동시에 운용중인 디지털 도서관의 몇몇 사례들과 디지털 도서관 경향 및 최근 이슈들을 다룬다. |
디지털독서론(Studies in Digital Reading) 디지털 텍스트의 특성에 따른 독서이론, 독서방법, 독서전략, 독서평가 등 디지털독서교육 분야의 독서이론습득과 응용이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 |
문헌정보교육방법론(Seminar of Materials & Research Methods in LISE) 초·중·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능력과 정보활용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개발된 「도서관과 정보생활」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안을 작성하고 실제 수업능력을 기른다. |
문헌정보교육철학(Studies in Theory of LISE) 문헌정보교육학의 이론과 철학 및 사상을 분석하여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체계와 철학을 이해한다. |
문헌정보교육학 연구방법론(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) 양적, 질적 연구방법론 외에 구조방정식, 문항분석, 소셜 네트워크 분석 등 문헌정보교육 분야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구성 |
비교분류론(Studies in Comparative Classification) 다양한 자료분류법을 이해하고, 주제 검색을 위해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습득한다. |
아동 및 청소년 자료론(Studies in Information User of Children and Young Adults) 아동과 청소년의 요구와 발달 단계상 특징을 이해하고, 구체적인 자료를 개발하여 제공하고,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핵심 이용자인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서비스 역량을 신장한다. |
정보행태론(Information Behavior) 이용자의 정보행태를 연구하는 것은 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는데 필수적이다. 본 교과목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가 정보를 추구, 탐색, 평가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. |
정보활용교육론(Theor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) 정보활용교육(Information Literacy)의 철학적 기반과 연구 동향 리뷰를 통해 정보활용교육의 프레임워크, 교육과정과 교육방법론 등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는 내용과 강의 방법으로 구성 |
정보활용교육과 교수설계(Instructional Design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) 정보활용교육 설계에 적합 기반 교수설계 이론을 탐구하여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이론을 정립하고,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 |
통합리터러시 교육론(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) 학교도서관이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문제 해결에 적용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자기 주도적으로 창출하고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, 이를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을 개발한다. |
학교도서관 마케팅론(Studies in Marketing of School Library) 영리 조직의 마케팅 기법을 비영리 조직인 학교도서관 경영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, 국․내외 성공적인 마케팅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발굴한다. |
학교도서관 미디어센터 경영론(Management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s) 교육정보서비스 기반인 학교도서관의 경영 원리와 가치를 이해하고, 다양한 교수매체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서 학교 교육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경영 계획수립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연구한다. |
학교도서관 서비스디자인(Service Design in School library) 서비스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개발 전략을 습득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품질 개선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과 기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 |